다가오는 2023년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2023년에 맞춰서 불운을 가진 띠 또는 나이가 있습니다.
그러한 불운을 가진 사람이라도 “이 방법”만 알면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요.
어떠한 방법인지 자세하게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음력 11월에서 12월 사이에는 동지섣달이라고 해서 양력 12월 22일이 동지라고 하는데, 많이들 팥죽을 먹는 날이라고 알려져있습니다.
들어오는액을 물리치고 좋은운을 받기 위해서 팥을 치는데,
이 비방을 하시게 되면 동짓날 따로 팥을 쓰거나 팥죽을 드시지 않아도 복을 받을수 있다고합니다.
2023년 계묘년 최악의 3재라도 “이것”만 알면 100% 극복할 수 있습니다




우선 주머니와 적색 팥이 필요합니다.
옛날에는 복주머니라고 해서 돈을 넣어두기도 한 주머니였습니다. 색은 상관없이 깨끗한 주머니이면 가능합니다.
그렇게 적색 팥을 넣은 주머니를 3개 만들어준 다음 현관에 있는 선반에 3개를 올려둡니다.



주머니를 3가지를 만드는 이유는
안 좋은 액을 모아주는 주머니, 들어오는 복 모아주는 다른 한주머니, 가정의 건강을 기원하는 마지막 안주머니로 갈 것입니다.
다만 이 비방은 유효기간이 있습니다.
음력 12월 마지막 날까지 이 비방을 사용하시고 음력 1월 1일이 될 때는 이 비방은 없어져야 합니다.



혹시나 삼재풀이를 하기 금전적으로 부담스러우시다면
이 비방법을 통해 안 좋은 액운을 막고 새로 들어오는 운을 잘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
100세 인생시대에서 50대만 되면 인생이 풀리는 사람은 “이런 얼굴”입니다
50대 이후로 술술 풀리는 여자관상이 따로 있다고 하는데요, 한번 알아볼까요? 나이별로 관상을 볼 때는 머리(이마) 털난데부터 미간까지를 태어나서 30세까지의 초년운,미간부터 코끝까지를 30세-50세 중년운, 그리고 코끝에서 턱끝까지를 50세-사망할 때까지 말년운으로 …
-
2023년 계묘년 “이 띠”는 새로운 연인을 만나는 좋은 시기입니다
새해가 되고 많은 분들이 새로운 연인을 만나길 고대하고 계실텐데요, 쌍문동 애기선녀님께서 2023년 연인을 만나게 될 띠와 나이를 알려주신다고 합니다. 한번 들어볼까요?2023년 기준 27세 소띠 와 29세 돼지띠는 들어오면 무조건 불 붙기 때문에 결혼을 논할 상황보다는 조금만 천천히 시간을 두고 더 만나봐야합니다. 괜히 성급하게 결혼을 했다가 끝이 안좋아질 수 있는 나이라고 하네요. 끝자리가 3살인 사람은 연인은 …
-
365일 중 딱 1번만 신청 가능합니다. 3만원 공짜로 버는 법
올해 1월1일부터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10만원을 내면 13만원을 받을 수 있는 고향사랑기부제가 실시 되었다고 합니다. 복지마블 tv 양스텔라님께서 직접 해보셨다고 하는데요, 어떤 내용인지 자세히 한번 알아볼까요? 고향사랑 기부제는 연말정산 하시는 직장인분들, 종합소득세 신고하시는 자영업자, 프리랜서 등 세금 내시는 분들을 비롯한 대다수의 국민들에게 해당된다고 합니다. 고향사랑기부제란? 중앙정부에서 세금으로 소멸되는 지방 자치단체를 간접적으로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국민들이 자치단체에 돈을 기부하면 10만원까지는 100% 세액공제를 해주기 때문에 나중에 전액환급받을 수 있고 추가로 기부액의 30%를 답례품으로 받아서 “10만원을 내면 13만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 입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를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간단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소득공제 세금이 부과되는 본인의 연 소득을 줄여줘서 그 소득에 부과되는 세금도 비례해서 줄어드는 것 입니다. 세액공제 최종적으로 결정된 세금에서 그 금액만큼을 빼주는 거라서 세액공제 100%라는 말은 세금에서 그 금액을모두 공제받을 수 있는 것 입니다. 소멸되어 가는 지방을 살린다는 명목으로 중앙정부에서 자치단체에 직접 예산을 주면 지역 간 형평성 문제도 생기고, 돈으로만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예산이 늘어나더라도 연말마다 멀쩡한 보도블럭을 교체해서 예산을 소진하는 등의 세금 낭비가 될 수 있겠죠? 고향사랑 기부제는 아래의 4가지 사업 목적으로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세금 낭비도 줄일 수 있습니다. ‘고향’이라는 단어가 들어갔지만 주민등록등본상 거주지를 제외한 자치단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