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모와 성격이 상위 10%라도 매번 차입니다” 남친과 오랫동안 연애하다보니 이제야 깨달은 진실
외모와 성격이 출중한데도 불구하고 유독 자주 차이는 사람들이 있다.
연애를 하다 보면 상대에게 차일 수도 있지만 계속 반복된다면 무언가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최근 항상 차이기만 하던 한 여성이 30대를 넘어서면서 그 이유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외적으로 별로인데 인기 많은 친구를 보고 깨달았어요”
지난 7일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오래 사귄 남친들에게 매번 차인 이유를 깨달은 여성 A씨의 사연이 올라왔다.
A씨는 “매번 차인 이유를 30대가 돼서야 알 것 같다”며 운을 뗐다.
그는 “외적으로 매력이 없는데도 남자들이 항상 매달리는 친구를 보니 알게 됐다”며 “하나같이 ‘칭찬’을 잘 하더라”라고 말했다.



이어 “반면 나는 장녀라서 무뚝뚝하고, 받은 사랑을 돌려주지 못했다”면서 자신을 돌아봤다.
그러고는 “무엇보다 남친의 잘못을 꾹 참았다가 논리적으로 풀어내는 날에는 반드시 사단이 나거나 그날이 연애의 마지막 날이었다”고 덧붙였다.
A씨는 “너무 사랑하는 남자를 만났을 땐 너무 칭찬하면 기고만장해져 눈 돌릴까 봐 걱정돼 더 못해준 적도 있다”면서 “나이가 드니 진심이든 아니든 표현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고맙다, 좋다’고 표현하고 오버스럽더라도 우쭈쭈하는 게 얼마나 중요한 지 깨달았다”고 말하며 글을 마쳤다.
해당 글이 올라오자 누리꾼들은 격하게 공감했다.
이들은 “남자는 결국 자기를 칭찬해 주는 여자 옆으로 가게 돼있다”, “여자든 남자든 인정받는 느낌을 들어야 연애를 길게 할 수 있음”, “이런 사실을 빨리 깨달아야 서로 안 힘든데”라고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사랑하는 연인과 건강하고 오래 사랑하려면?
한 누리꾼은 “여자는 사랑에 목숨 걸고 남자는 인정에 목숨 건다는 말이 있듯이, 남자는 자기를 인정해 주는 사람에게 최선을 다하기 마련”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장수하는 커플들의 사소한 습관은 크게 4개로 나뉜다.
첫 번째는 역시 ‘사소한 칭찬’으로, 작은 일에도 자신을 인정해 주는 상대방에게 더 큰 고마움과 애정을 느끼게 해준다.



두 번째로는 ‘먼저 사과하기’다. 연인 사이에서 다툼은 관계를 다져가는 과정 중 하나이기에 싸우는 것보다 문제의 본질을 들여다보고 자존심 부리지 않는 게 중요하다.
세 번째로는 ‘공감하기’다. 항상 상대방의 이야기에 충분히 공감하고 반응하는 것만으로도 신뢰를 쌓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나 먼저 사랑하기’다. 이기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아닌 스스로에 만족감을 느끼고 인정해 줘야 아름다운 관계가 이어질 수 있다.
-
100세 인생시대에서 50대만 되면 인생이 풀리는 사람은 “이런 얼굴”입니다
50대 이후로 술술 풀리는 여자관상이 따로 있다고 하는데요, 한번 알아볼까요? 나이별로 관상을 볼 때는 머리(이마) 털난데부터 미간까지를 태어나서 30세까지의 초년운,미간부터 코끝까지를 30세-50세 중년운, 그리고 코끝에서 턱끝까지를 50세-사망할 때까지 말년운으로 …
-
2023년 계묘년 “이 띠”는 새로운 연인을 만나는 좋은 시기입니다
새해가 되고 많은 분들이 새로운 연인을 만나길 고대하고 계실텐데요, 쌍문동 애기선녀님께서 2023년 연인을 만나게 될 띠와 나이를 알려주신다고 합니다. 한번 들어볼까요?2023년 기준 27세 소띠 와 29세 돼지띠는 들어오면 무조건 불 붙기 때문에 결혼을 논할 상황보다는 조금만 천천히 시간을 두고 더 만나봐야합니다. 괜히 성급하게 결혼을 했다가 끝이 안좋아질 수 있는 나이라고 하네요. 끝자리가 3살인 사람은 연인은 …
-
365일 중 딱 1번만 신청 가능합니다. 3만원 공짜로 버는 법
올해 1월1일부터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10만원을 내면 13만원을 받을 수 있는 고향사랑기부제가 실시 되었다고 합니다. 복지마블 tv 양스텔라님께서 직접 해보셨다고 하는데요, 어떤 내용인지 자세히 한번 알아볼까요? 고향사랑 기부제는 연말정산 하시는 직장인분들, 종합소득세 신고하시는 자영업자, 프리랜서 등 세금 내시는 분들을 비롯한 대다수의 국민들에게 해당된다고 합니다. 고향사랑기부제란? 중앙정부에서 세금으로 소멸되는 지방 자치단체를 간접적으로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국민들이 자치단체에 돈을 기부하면 10만원까지는 100% 세액공제를 해주기 때문에 나중에 전액환급받을 수 있고 추가로 기부액의 30%를 답례품으로 받아서 “10만원을 내면 13만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 입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를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간단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소득공제 세금이 부과되는 본인의 연 소득을 줄여줘서 그 소득에 부과되는 세금도 비례해서 줄어드는 것 입니다. 세액공제 최종적으로 결정된 세금에서 그 금액만큼을 빼주는 거라서 세액공제 100%라는 말은 세금에서 그 금액을모두 공제받을 수 있는 것 입니다. 소멸되어 가는 지방을 살린다는 명목으로 중앙정부에서 자치단체에 직접 예산을 주면 지역 간 형평성 문제도 생기고, 돈으로만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예산이 늘어나더라도 연말마다 멀쩡한 보도블럭을 교체해서 예산을 소진하는 등의 세금 낭비가 될 수 있겠죠? 고향사랑 기부제는 아래의 4가지 사업 목적으로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세금 낭비도 줄일 수 있습니다. ‘고향’이라는 단어가 들어갔지만 주민등록등본상 거주지를 제외한 자치단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