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료 개그맨 강재준과 2017년 결혼 부부 동반으로 다양한 예능에 출연하며 데뷔 이래 가장 바쁜 나날을 보내고 이은형은 코미디언 동료들 사이에서도 소문난 짠순이라고 하는데요. 돈을 펑펑 쓰는 것보다야 아끼고 절약하는 게 더 낫지만 이은형의 절약 패턴을 살펴보면 절약이라기보다는 사기에 가깝습니다.




이은형의 독특한 절약 패턴이 공개된 건 결혼 직후 남편과 동반 출연한 한 예능 프로그램에서 개그우맨 김지선이 이은영을 향해 김생민 뺨 치는 소문난 짠순이라고 그녀의 과도한 금검절약에 대해 언급하면서부터였습니다. 선배 김지선의 말을 듣자 이은영 본인 역시 평소 돈을 잘 쓰지 않는다고 쿨하게 인정했는데요.






옆에 앉아 있던 남편 강재중 역시 고개를 세차게 끄덕이며 이은영이 현재는 물론 결혼 전 연애 시절에도 돈을 아끼기 위해 별걸 다 해봤다며 폭로에 나섰습니다. 함께 데이트를 하고 저녁을 먹으러 갔다가 계산할 차례가 되면 슬리퍼를 신은 상태에서 신발 끈을 묶는 취하는 등 자신의 지각만큼은 꿋꿋하게 지켰다는 이은형.






무명 코미디언 시절 강재준과 이은영은 거주비를 아끼기 위해 동료 코미디원들과 합숙 생활을 했다는데요.
총 5명에서 분담해 월세를 내면 살벌한 서울 집값에 대한 부담도 덜 수 있고 방송 활동으로 번 돈도 더 열심히 모을 수 있으니 주머니 사정이 좋지 않은 신인 개그맨들에게는 좋은 선택지 합숙 생활 중 월세를 내고 자잘한 생활비를 관리하는 총무 역할을 자처한 건 이은형이었습니다.






당시 유일한 여자였기에 다른 동료들도 남자보다는 더 꼼꼼한 여자가 관리하는 게 더 맞다는 생각에 모든 업무를 일임했고 그렇게 강재준을 포함한 나머지 동료들은 매달 각자 15만 원을 이은영에게 지급했다는데요. 5명이 거주하는 집에서 한 사람당 15만 원씩 낸다면 월세가 75만 원이어야 하는 게 말이 되는 상황.



그러나 추후 밝혀진 바에 따르면 당시 거주하던 집은 월세는 물론 관리비까지 다 포함해도 60만 원이 채 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알고 보니 총무를 자처한 이은영이 정작 본인은 월세를 내지 않고 공짜로 지내면서 다른 4명의 돈으로만 월세를 낸 것이었습니다.
심지어 남은 돈까지 본인이 꿀꺽한 것이었지 강제주는 너털웃음을 지으며 재밌다고 전한 이야기에 듣던 패널들은 술렁이기 시작했고 그건 알뜰한 게 아니라 범죄 아니냐며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는데요.



이은형은 애들이 바보같이 내더라 잔에 쌓이는 걸 즐겼을 뿐이다 라고 오히려 뻔뻔하고 당당하게 응수 정작 뭘 잘못했는지 전혀 모르는 듯한 적반하장의 모습을 보여 황당함을 자아냈습니다.



경제 사정이 넉넉지 않을 땐 주변 사람들에게 손을 벌릴 수도 있고 본의 아니게 폐를 끼칠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자신이 저지른 잘못이 무엇인지 깨닫고 반성하기는 커녕 방송에서 웃긴 에피소드 정도로 치부하거나 피해자를 상대로 입막음을 시도하는 뻔뻔함 아닐까요.
해당 포스팅은 모던타임즈의 영상을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했습니다.
-
100세 인생시대에서 50대만 되면 인생이 풀리는 사람은 “이런 얼굴”입니다
50대 이후로 술술 풀리는 여자관상이 따로 있다고 하는데요, 한번 알아볼까요? 나이별로 관상을 볼 때는 머리(이마) 털난데부터 미간까지를 태어나서 30세까지의 초년운,미간부터 코끝까지를 30세-50세 중년운, 그리고 코끝에서 턱끝까지를 50세-사망할 때까지 말년운으로 …
-
2023년 계묘년 “이 띠”는 새로운 연인을 만나는 좋은 시기입니다
새해가 되고 많은 분들이 새로운 연인을 만나길 고대하고 계실텐데요, 쌍문동 애기선녀님께서 2023년 연인을 만나게 될 띠와 나이를 알려주신다고 합니다. 한번 들어볼까요?2023년 기준 27세 소띠 와 29세 돼지띠는 들어오면 무조건 불 붙기 때문에 결혼을 논할 상황보다는 조금만 천천히 시간을 두고 더 만나봐야합니다. 괜히 성급하게 결혼을 했다가 끝이 안좋아질 수 있는 나이라고 하네요. 끝자리가 3살인 사람은 연인은 …
-
365일 중 딱 1번만 신청 가능합니다. 3만원 공짜로 버는 법
올해 1월1일부터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10만원을 내면 13만원을 받을 수 있는 고향사랑기부제가 실시 되었다고 합니다. 복지마블 tv 양스텔라님께서 직접 해보셨다고 하는데요, 어떤 내용인지 자세히 한번 알아볼까요? 고향사랑 기부제는 연말정산 하시는 직장인분들, 종합소득세 신고하시는 자영업자, 프리랜서 등 세금 내시는 분들을 비롯한 대다수의 국민들에게 해당된다고 합니다. 고향사랑기부제란? 중앙정부에서 세금으로 소멸되는 지방 자치단체를 간접적으로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국민들이 자치단체에 돈을 기부하면 10만원까지는 100% 세액공제를 해주기 때문에 나중에 전액환급받을 수 있고 추가로 기부액의 30%를 답례품으로 받아서 “10만원을 내면 13만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 입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를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간단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소득공제 세금이 부과되는 본인의 연 소득을 줄여줘서 그 소득에 부과되는 세금도 비례해서 줄어드는 것 입니다. 세액공제 최종적으로 결정된 세금에서 그 금액만큼을 빼주는 거라서 세액공제 100%라는 말은 세금에서 그 금액을모두 공제받을 수 있는 것 입니다. 소멸되어 가는 지방을 살린다는 명목으로 중앙정부에서 자치단체에 직접 예산을 주면 지역 간 형평성 문제도 생기고, 돈으로만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예산이 늘어나더라도 연말마다 멀쩡한 보도블럭을 교체해서 예산을 소진하는 등의 세금 낭비가 될 수 있겠죠? 고향사랑 기부제는 아래의 4가지 사업 목적으로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세금 낭비도 줄일 수 있습니다. ‘고향’이라는 단어가 들어갔지만 주민등록등본상 거주지를 제외한 자치단체 …